인용
인용의 개념과 방식글쓰기와 공부는 1차 자료이든 2차 자료이든 자료 자체로부터 벗어날 수가 없다. 읽고 생각하고 쓰든, 실험을 통하여 결과를 정리하든 우리들은 늘 역사적· 공시적 자료와 더불어 그를 수행한다. 이러한 작업에서 결론에 도달하기까지 영향을 끼친 자료들은 반드시 구체적으로 밝혀야한다. 남의 글을 인용했음에도 그 출처를 밝히지 않는다든지 자기의 글인 것처럼 요약하여 제시하는 일은 절대로 하지 말아야한다. 인용 처리를 잘못하여 표절이 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인용(引用, quotation; citation)이란 남의 말이나 글 가운데에서 필요한 부분을 끌어다 쓰는 것을 말한다. 학술 논문에서는 ‘자기의 이론 전개에 다른 연구자의 이론 및 문헌을 끌어들여 자기의 논리를 정당화하는 것, 다른 사람의 논문이나 저서 가운데 문장 일부를 그대로 또는 그 내용을 다르게 표현하여 자신의 논문 속에 삽입하여 자신의 논리를 뒷받침 하는 것’(곽동철, 「학술 논문에서 표절의 유형과 올바른 인용 방식에 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1권, 2007, 111쪽)을 인용이라 한다.
인용의 방법은 인용문을 그대로 옮겨오는 직접인용과 글쓰는 이의 언어로 바꾸어 인용하는 간접인용이 있다. 직접인용을 할 때에는 반드시 인용부호인 큰 따옴표(“ ”)를 사용하여 인용 부분을 밝혀주어야 한다. 여기에서는 인용하는 양의 정도가 문제된다. 용어나 개념, 분량 등 그 정도에 따라 인용 표기 방식이 다르다. 이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직접 인용
∙ 직접 인용부호인 “ ”를 사용하여 본문의 필요한 부분에 삽입하는 경우
∙ 인용문의 분량이 많아서 별도의 인용 단락으로 구성하는 경우
간접 인용
∙ 직접 인용부호인 “ ”를 사용하지 않고 내용이나 문장 등을 재해석하여 본문 속의 문장으로 용해시키는 경우
ㆍ인용 원문은 자기의 논점과 가장 밀접한 부분만 따오되 그 뜻이 명확히 드러나도록 범위를 잡아야 한다. 인용 부분은 원문과 완전히 일치해야 한다. 원문에서 사용한 용어, 철자법, 구두점은 말할 것도 없고 오자나 탈자까지도 그대로 인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ㆍ인용문의 분량이 많을 경우 인용 부호를 쓰지 않고 다른 줄을 잡아서 인용 원문을 제시한다. 이때의 분량이란 일반적으로 두 개 이상의 문장으로 그 길이가 4행 이상일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글을 인용할 때는 자기의 글과 다른 줄을 잡아 적되, 그 시작점을 자기 글의 시작점보다 들여쓰기 하도록 한다.
ㆍ인용의 범위가 너무 넓거나, 인용 원문에 대해 자신의 해석을 가할 경우 및 내용을 요약할 경우에는 간접 인용을 사용한다. 이때에는 반드시 인용한 글의 지은이, 원문의 출처, 인용한 내용의 범위를 명확히 밝혀야한다. 그렇게 하여 인용 한 이의 생각과 글 쓰는 이의 생각이 명확히 구분 될 수 있도록 표시를 해야 한다.
출처: 한양대학교 교양국어교육위원회, 『글이 삶이다』, 한양대학교 출판부, 2017, 53~55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