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GRADUATE SCHOOL

CATEGORY
실험과학
실험과학 논문 작성법실험과학 논문은 그 이전에 이루어진 적이 없는 오리지널 연구의 결과를 서술하는 출판물이다.  이러한 연구 논문은 크게 가설을 세우고 그 진위를 시험하기 위한 일련의 실험을 고안하여 데이터를 모아 결과를 도출한 결론을 보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부분의 실험과학 학술지들은 제목(Title)과 논문 내용을 간략히 요약한 초록(Abstract)과 함께, 서론(Introduction), 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결과(Results), 논의(Discussion), 그리고 참고 문헌(References)의 형식을 요구한다.   영역별 특징 및 작성법 제목(Title) 제목은 연구 주제를 즉각적으로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제목은 논문에서 독자들에게 가장 먼저, 또 가장 자주 열람 되는 영역이다.  많은 독자는 해당 논문을 읽을 것인지 여부를 제목을 읽고 결정한다. 신경 써서 선택한 단어들로 이루어진 간결하고 정교한 한 두 줄의 한 문장으로 작성한다. 제목(Title) 작성법과 전략 ㆍ“OOO에 관한 연구” 혹은 “XXX에 관한 고찰” 등 지나치게 광범위하거나 추상적인 제목은 피한다. ㆍ연구 과정에서 설계된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s; 예: 에피네프린 처리)와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s; 예: 호흡수), 그리고 연구 대상물(예: 실험 쥐) 등의 관계를 드러냄으로써 독자들이 연구 정보를 통해 이를 기대하고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예: 에피네프린이 실험 쥐의 호흡수에 미치는 영향)ㆍ최근에는 수많은 검색 프로그램을 통해 논문의 제목이 많은 독자에게 쉽게 노출된다. 따라서, 제목에서 선택한 단어들이 해당 연구 분야 검색에 자주 사용되는 키워드(keyword)와 연계될 수 있도록 구상한다.ㆍ줄임말(abbreviation)은 될 수 있는 대로 사용하지 않고 정식 단어들로 작성한다.     초록(Abstract)  초록은 전체 논문이 축약된 형태의 요약문이다. 초록은 논문의 각 영역, 즉 서론(Introduction), 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결과(Results), 논의(Discussion)에 해당하는 핵심 내용을 포함하여 독자들이 논문의 내용을 빠르게 파악하고 흥미를 보일 수 있도록 작성한다. 초록(Abstract) 영역 작성법과 전략 ㆍ학계에서 알려진 사실과 알려지지 않은 것들(약 1~2문장), 구체적 가설 및 질문(약 1문장), 연구 전략(약 1~2문장), 주요 결과(약 1~2문장), 논문의 학술 및 응용적 의의(약 1~2 문장)로 구성한다. 논문의 내용에 따라 해당 문장 수는 탄력적으로 운용한다. ㆍ보통 영문 기준 약 250~450 단어 정도로 작성되는데, 대부분의 학술지는 초록에 할당되는 단어의 수를 제한하고 있으므로 해당 학술지의 규칙을 확인한다.ㆍ전체 논문을 작성한 후 마지막에 요약하면서 초록을 작성할 수도 있다.     서론(Introduction)  서론은 독자들에게 해당 연구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사전 정보를 제공하고, 흥미를 일으킬 수 있도록 학문적 자극을 주는 역할을 한다. 요점을 명확히 짚는 직설적인 문장으로 간결하고 짧게 작성한다.   서론(Introduction) 영역 작성법과 전략 ㆍ해당 연구 논문과 관련하여 학계에 잘 알려진 사실을 기술한 후 알려지지 않은 것에 대하여 소개한다. 이때 관련된 참고 문헌을 적절히 선택하여 정확히 표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대게 3~9문장으로 이루어진 2~4개의 문단으로 구성되지만, 연구 내용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게 된다.ㆍ위 내용에서 파생된 가설 및 질문을 적는다. 이 내용은 독립적인 문단으로 다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는위 내용의 마지막 문단에 1~2문장으로 포함하는 형태로 제시될 수도 있다.  ㆍ특기적인 실험 방법과 같은 연구 전략을 밝힌 후 도출된 결과들을 나열한다. 이를 통합한 결론과 그로 인한 학문적, 산업적 의의 등에 대하여 간략히 기술한다. 이 모든 내용은 논문의 다른 영역에서 깊이 다루어지기 때문에 간략히 3~9문장으로 이루어진 한 문단으로 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연구 전략, 실험 재료, 방법 등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독자들이 가설을 시험하는 데에 사용된 실험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적절한 참고 문헌을 제시하고, 새로운 방법은 재현하기에 충분한 구체적 내용을 제공한다.   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영역 작성법과 전략 ㆍ실험 재료와 방법을 구분해 작성하기도 하고 실험 방법을 기술하면서 재료를 설명할 수도 있다. 재료의 출처(구입한 회사 혹은 연구실 등)를 밝혀야 하고, 살아 있는 동물이나 사람이 대상인 경우 그 상태(나이, 성별, 건강 상태 등)를 기술한다. 연구 기관의 연구 윤리 강령(Institutional Review Board/Ethical Review Committee)에 따라 실험이 진행되었다는 문장을 포함한다.ㆍ연구의 방법적 “디자인”을 기술하면서, 각각의 실험에 대하여 무엇을, 왜, 어떻게, 어떤 원칙으로 진행하였는지 기술한다. 그러나, 단순한 실험 진행 순서인 “레서피”는 최소화한다.ㆍ널리 사용되는 실험 방법은 간략히 적고 관련 참고 문헌을 기술한다.   결과(Results)   재료 및 방법 영역에 기술된 실험들을 진행하여 도출된 결과들을 작성한다. 결과에 해당하는 내용들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표 또는 그림들을 작성할 수 있고, 이 들을 연계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자연과학 계열 실험과학 논문에서 가장 길게 작성하는 영역이다. 결과(Results) 영역 작성법과 전략 ㆍ실험에서 얻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물을 표 또는 그림(사진, 그래프, 다이어그램 등)으로 정확하게 작성한다. 표와 그림 제작과 관련하여 각 학술지에 따라 특정 기준이 존재한다. 표는 색이나 그림자 등의 사용을 배제하여 간결하게 제작하고, 모든 그림은 선, 색, 모양 등의 형식을 통일한다. 그림을 설명하는 주석(legend)을 작성한다. 또한 데이터의 통계 처리에 주의한다. ㆍ전체 논문의 스토리를 염두 하면서 표와 그림의 결과물들의 설명 순서를 정하고 번호를 부여한다. 표와 그림 작성에 해당하는 실험이 실제로 수행한 실험 순서와는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하고 결과의 논리적 전개에 주력한다.ㆍ결과를 작성하면서 해당 표와 그림을 표시한다. 표와 그림의 순서와 결과 작성 순서가 일치하는 것이 원칙이다. 표와 그림의 수는 각 학술지가 정한다.     논의(Discussion)   서론에서 제시한 가설 및 질문을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대답할 수 있는지 여부를 제시한다. 도출된 결과들이 어떻게 가설을 지지하거나 부인하는지, 기존의 학설과 어떻게 일치하고 배치하는지 등에 대한 고찰이 포함된다. 논의(Discussion) 영역 작성법과 전략 ㆍ서론에서 제시한 가설 및 질문을 일깨운 후 그에 대한 해답을 주어진 결과에 기초하여 기술한다. 그 과정에서 필요한 참고 문헌을 기술한다.ㆍ기존의 발표된 결과와 배치되는 결과, 기대하지 않았던 결과 등을 논리에 맞도록 설명하면서 본 연구 결과가 해당 연구 분야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서술한다.ㆍ문단의 첫 문장을 주제문(topic sentence)으로 작성하고 각 주제문이 스토리를 나타낼 수 있도록 배치한다.ㆍ연구 내용의 적용, 그에 따른 활용 방안, 학문적 의의 및 미래 지향적 영향성 등에 대하여 피력한다.   기타(Others)   1. 위에 기술된 문장 혹은 문단의 수는 대략적인 것으로서 실제 논문은 다양한 조합을 통해 작성될 수 있다.   2. 각 학술지는 초록과 전체 논문에서 사용되는 단어의 수, 표와 그림의 수와 형식, 참고 문헌의 수와 형식 등 다양한 형태의 포맷을 규정하고 있으므로 논문 작성 시 반드시 제출하고자 하는 학술지의 규정 사항을 확인하도록 한다.    3. 어떤 학술지는 결론 영역을 추가적으로 작성할 것을 요구한다.  결론은 특히 알고리즘 작성이나, 특정 기기를 개발하는 등의 방법론 개발 연구를 하는 경우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  ㆍ결론은 대개 5~7 문장으로 이루어진 한 문단으로 작성한다.  ㆍ연구 주제를 상기시키고, 주요 결과들을 연구 주제의 중요성과 연관시켜 다시 한 번 기술한다.  ㆍ주요 논점들의 학술적, 사업적, 역사적 중요성 등을 연결하여 고찰함으로써 독자들에게 호소하는 문장으로 끝맺음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