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GRADUATE SCHOOL

인용
인용의 개념과 방식글쓰기와 공부는 1차 자료이든 2차 자료이든 자료 자체로부터 벗어날 수가 없다. 읽고 생각하고 쓰든, 실험을 통하여 결과를 정리하든 우리들은 늘 역사적· 공시적 자료와 더불어 그를 수행한다. 이러한 작업에서 결론에 도달하기까지 영향을 끼친 자료들은 반드시 구체적으로 밝혀야한다. 남의 글을 인용했음에도 그 출처를 밝히지 않는다든지 자기의 글인 것처럼 요약하여 제시하는 일은 절대로 하지 말아야한다. 인용 처리를 잘못하여 표절이 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인용(引用, quotation; citation)이란 남의 말이나 글 가운데에서 필요한 부분을 끌어다 쓰는 것을 말한다. 학술 논문에서는 ‘자기의 이론 전개에 다른 연구자의 이론 및 문헌을 끌어들여 자기의 논리를 정당화하는 것, 다른 사람의 논문이나 저서 가운데 문장 일부를 그대로 또는 그 내용을 다르게 표현하여 자신의 논문 속에 삽입하여 자신의 논리를 뒷받침 하는 것’(곽동철, 「학술 논문에서 표절의 유형과 올바른 인용 방식에 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1권, 2007, 111쪽)을 인용이라 한다.   인용의 방법은 인용문을 그대로 옮겨오는 직접인용과 글쓰는 이의 언어로 바꾸어 인용하는 간접인용이 있다. 직접인용을 할 때에는 반드시 인용부호인 큰 따옴표(“ ”)를 사용하여 인용 부분을 밝혀주어야 한다. 여기에서는 인용하는 양의 정도가 문제된다. 용어나 개념, 분량 등 그 정도에 따라 인용 표기 방식이 다르다. 이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직접 인용 ∙        직접 인용부호인 “ ”를 사용하여 본문의 필요한 부분에 삽입하는 경우 ∙        인용문의 분량이 많아서 별도의 인용 단락으로 구성하는 경우 간접 인용 ∙        직접 인용부호인 “ ”를 사용하지 않고 내용이나 문장 등을 재해석하여 본문 속의 문장으로 용해시키는 경우     직접 인용의 예 우리가 무엇인가에 대해 글을 쓰려면 그 쓰려고 하는 대상에 대해 새롭게 의미를 부여하지 않으면 안된다. 사물에 대한 애정 어린 관심과 자세한 관찰을 통해 우리는 그 사물과 새로운 관계를 맺을 수 있다. 이러한 관계 형성과 새로운 인식이 좋을 글을 쓰는 데는 꼭 필요한 것이다. 김춘수 시인은 그의 시 「꽃」에서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내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라고 했다.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는 사물과 내가 관계를 맺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는”것이다.    인용 원문은 자기의 논점과 가장 밀접한 부분만 따오되 그 뜻이 명확히 드러나도록 범위를 잡아야 한다. 인용 부분은 원문과 완전히 일치해야 한다. 원문에서 사용한 용어, 철자법, 구두점은 말할 것도 없고 오자나 탈자까지도 그대로 인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직접 인용의 예 다음은 한국 근대 여성 작가 중의 하나인 박화성의 기행문 <해서기행 (4)>(<조선 일보> 1935년 12월 10일자) 중 일부분이다. 여기에는 자연을 대하는 작가의 태도가 드러나있다.    나는 물에 잠기지 않은 돌을 골라 밟아 시내를 건넙니다. 흘러 오는 물은 내가 뛰고있는 돌에 부딪혀 깨어지며 차디찬 물방울의 진주알이 내 발등에서 부서집니다. 보는 순간 내 발은 자리를 헛디며 맑은 물을 유린하고 말았습니다. 속인의 발이 청계를 더럽힌 죄로 내 구두에는 물이 하나 가득 들었습니다.    그녀는 바닥에 떨어져 쌓여있는 낙엽, 잡목과 잡초의 마른 등걸 따위를 보며 이를 생활 자원으로 활용할 수 없음을 안타까워한 적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자연을 개척하고 지배하여 인간의 도구로 활용하려는 근대 서구인의 자연관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이 글에서 그녀가 자연에 대해 취하는 것은 공생의 자세이다. 위 문장은 이를 단적으로 보여 준다. 산속을 흐르는 시내를 건너 다 발이 물에 젖자, 문명인이자 속인인 자신이 자연의 세계를 ‘유린’했다고 표현한다. 시냇물의 입장이 되어 인간을 평가하는 바로 이 지점에서 자연을 대하는 작가의 경건한 마음을 읽을 수 있다.    인용문의 분량이 많을 경우 인용 부호를 쓰지 않고 다른 줄을 잡아서 인용 원문을 제시한다. 이때의 분량이란 일반적으로 두 개 이상의 문장으로 그 길이가 4행 이상일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글을 인용할 때는 자기의 글과 다른 줄을 잡아 적되, 그 시작점을 자기 글의 시작점보다 들여쓰기 하도록 한다.        간접인용의 예 알랑은 행복의 조건을 네 가지로 나누어 말한 바가 있다. 첫째, 직업을 위한 전문 지식이 필요 하다. 이는 생명의 유지를 위한 기본 요건이다. 둘째, 한 가지의 외국어를 익히는 일이다. 견문을 넓히고 자기의 말이나 문화를 좀 더 잘 이해하기 위한 바탕이다. 셋째, 한 가지의 스포츠를 익히는 일이다. 건강과 레크레이션을 위해서 갖추어야 할 바이다. 넷째, 하나의 악기를 다루는 일이다. 정서 순화와 취미 생활을 위하여 필요한 것이다. 물론이 조건이 행복을 위한 절대 조건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이런 네 가지 조건을 갖추면 우리의 인생을 뜻있고 멋있게 사는 데 확실히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인용의 범위가 너무 넓거나, 인용 원문에 대해 자신의 해석을 가할 경우 및 내용을 요 약할 경우에는 간접 인용을 사용한다. 이때에는 반드시 인용 한 글의 지은이, 원문의 출처, 인용한 내용의 범위를 명확히 밝혀야한다. 그렇게 하여 인용 한 이의 생각과 글 쓰는 이의 생각이 명확히 구분 될 수 있도록 표시를 해야 한다.    출처: 한양대학교 교양국어교육위원회, 『글이 삶이다』, 한양대학교 출판부, 2017, 53~55쪽. ■
표절
표절의 개념표절이란 “출전을 정확히 밝히지 않고 한 문장에서 핵심을 이루는 단어 셋(주어+목적어+서술어) 이상을 베끼는 행위”이다(이상복 편저, 『쉬운 문장 좋은 글』, 세창미디어, 2003, 9쪽), 두루뭉술하게 인용하여 인용된 글과 저자의 글이 혼용되는 경우, 따옴표없이 상당한 양으로 타인의 용어를 인용하는 경우, 타인의 이론이나 연구 방법을 그대로 옮겨 적는 경우, 동일 저자(연구팀)에 의한 과거 발표 결과를 재사용하는 경우 등 여러 경우가 표절로 간주된다.   정직성을 지키지 못한 행위인 표절은 해서는 안되는 일이다.  찰스 립슨이 『정직한 글 쓰기』(멘토로, 2008)에서 제시한 ‘학문적 정직성을위한 3원칙’은 다음과 같다.   1. 자신의 이름으로 제출하거나 발표하는 모든 연구 실적은 실제로 자신이 연구한 것이어야한다.   1. 다른 연구자의 연구 실적을 인용하거나 참고했을 때에는 반드시 그 출처를 밝혀야 한다. 단지 학술 용어를 인용 한 것이라도 예외가 될 수 없다.    1. 연구 자료는 정확하고 정직하게 제시해야한다. 연구 실적과 관련이 있는 모든 자료는 그것이 어떤 형태의 것이든지 예외가 될 수 없다.      출처: 한양대학교 교양국어교육위원회, 『글이 삶이다』, 한양대학교 출판부, 2017, 58~62쪽.